PC온라인을 비롯한 모바일에서의 카드 사용이 보다 까다로워지게 되면서 이러한 정부정책이 게임산업의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모바일게임 시장에 미칠 영향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은 최근 해킹으로 인한 신용카드 부정결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이달부터 온라인 결제 전반에 대한 보안강화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정부가 이번 대책에 PC온라인 뿐 아니라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 결제도 포함시키면서 앞으로 모바일게임 결제 시에도 과거보다 복잡한 인증절차 도입이 예고, 업계에서는 세부적인 적용범위에 예의주시하고 있는 분위기다.
◆ 30만원 이상 땐 '공인인증+휴대폰' 인증 의무화
이번 정부 정책에 따라 오는 5월부터 모든 게임사이트에서 30만원 이상 카드로 결제할 때, 공인인증서와 휴대폰 문자인증을 두 가지 방법을 모두 거쳐야 한다. 30만원 미만 결제시에도 두 가지 중 한 개를 선택해 인증하게끔 의무화될 예정이다.
사실 그 동안에는 게임사이트를 포함한 대부분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카드 안전결제(ISP)의 경우 인증서와 비밀번호, 안심클릭은 카드정보와 비밀번호만 입력해 넣으면 결제가 가능했다. 이에 해킹 등 부정적인 방법을 통해 획득한 카드정보로 결제가 가능했던 것.
실제로 지난해 11월 KB국민카드와 BC카드의 ISP, 안심클릭 이용고객 정보 유출사건이 발생, 당시 범인들은 해킹한 정보를 통해 넥슨 등 온라인 게임사이트에서 1억7천만원 규모의 부정결제 피해를 일으킨 바 있다.
이와 함께 모바일결제 서비스 또한 카드정보만으로 결제가 불가능하도록 모바일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또는 휴대폰 문자를 통한 추가 인증이 의무화될 예정이다. 특히 4분기부터는 이용자가 미리 등록한 모바일 단말기에서만 인터넷뱅킹, 트레이딩 등의 금융거래가 가능하도록 변경 추진된다.
온라인 쇼핑 규모가 국내 소매판매의 10%가 넘는 32조원 시장으로 성장, 해킹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불편이 따르더라도 보안강화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었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 모바일도 '공인인증+단말기 지정제' 추진…영향은?
그러나 PC온라인 및 모바일 결제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게임업계는 이번 정부의 정책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면서도 의외로 담담한 듯한 모습이다.
이미 지난해 말부터 KB국민카드, BC카드 등 주요 카드사에 의해 카드결제시 공인인증서 의무화가 시행되고 있었던 데다가 무통장입금, ARS 등 다양한 결제수단도 활용되고 있어 휴대폰 문자인증 등의 결제수단 보안이 강화된다 하더라도 매출에 큰 타격은 없을 것이란 입장이다.
이번 정부의 온라인결제 보안강화 종합대책은 카드로 결제할 때에만 적용되게 된다.
모바일 결제에 대한 인증강화 또한 '카드' 사용시에만 적용 되는데다가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등 오픈마켓을 통한 간접 결제가 진행되고 있어 이에 따른 시스템 구축 비용 등 직접적인 타격은 적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게임 콘텐츠 결제과정의 절차가 복잡해지긴 했지만 이로 인해 매출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는 생각지 않는다"며 "또 이미 게임사이트를 통한 공인인증서 의무화를 자율 시행하고 있어 당장에 본인인증 강화가 의무화되더라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이번 정부의 정책은 게임사보다 카드사 시스템 구축에 좀 더 초점이 맞춰져 있어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 "다만 공동으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따를 계획"이라고 전했다.
[류세나 기자 cream53@chosun.com] [gamechosun.co.kr]
▶ 소녀시대부터 우주의 평화까지 밸런스를 논한다. 게임조선 밸런스토론장
▶ RPG 잘 만드는 회사가 만든 모바일게임 헬로히어로의 모든 것. 게임조선 헬로히어로 전장
▶ 게임사, 직원 평균 연봉 ″4300만원″…임원은 ″4억원″ 넘어서
▶ 4월, 분주한 게임계…국내·외 유력 기업, 잇단 신사업 발표
▶ 中 모바일게임 한국행 러쉬…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