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게임 실리콘밸리'로 급부상하고 있는 성남시가 또 다시 게임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성남시는 23일 성남시청에서 브리핑을 갖고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와 국회의 과감한 인식전환과 함께 콘텐츠 및 게임산업에 대한 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이날 브리핑에 나선 한승훈 시 대변인은 "최근 여당 최고위원의 '게임 4대악' 발언이 논란이 된지 하루만에 정부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인터넷과 게임산업이 중심인 소프트웨어산업을 창조경제의 실현도구로 삼겠다고 밝혔다"면서 "이는 결과적으로 국회와 정부부처간의 국가정책의 혼선을 초래하고 있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의 국정기조인 '창조경제'의 핵심은 반짝이는 아이디어에 과학기술과 문화를 합쳐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라며 "성남시는 앞으로도 창조경제 인재육성과 산업 생태계 조성에 집중적인 투자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성남시는 넥슨, 엔씨소프트, NHN엔터테인먼트, 네오위즈게임즈 등 대형업체를 포함해 200여개가 넘는 게임사들이 입주해 있는 '한국형 게임 실리콘밸리'로, 4만여명의 인원이 성남시에서 직간접적으로 게임콘텐츠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실제 성남시는 지난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의 국책사업인 '글로벌게임허브센터', 2011년 '모바일게임센터'를 유치한데 이어 지난 11일 '국제게임페스티벌(IEF)'을 개최하는 등 게임산업 육성에 많은 공을 들여 오고 있다.
또 이날 브리핑을 통해 국제화, 과학기술과 인문 융합시대에 발맞춘 주니어 창의인재육성 프로그램 운영을 공식화, 올해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추가로 약속했다.
장기적으로는 판교테크노밸리 인근에 'IT·게임·SW 융합 과학고등학교' 신설을 추진하고, 국내 최고 수준의 이공계 대학원 유치도 검토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공공유관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게임 등 개별 콘텐츠 역기능에 대한 '힐링센터'를 마련, 게임과몰입치료 및 교육, 캠페인 등 지속적인 활동도 펼쳐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한승훈 대변인은 "올 상반기 게임산업의 수출액은 전체 콘텐츠산업 수출액의 62.4%인 1조5011억원으로 집계됐다"며 "국가 경쟁력 확대 차원에서도 게임산업 규제완화와 함께 인식전환을 위한 국민적 합의절차가 수반돼야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마약, 도박처럼 사회적 폐해가 큰 범위에 게임을 포함시킴으로서 순기능보다 역기능을 부각, 이는 산업 위축은 물론 국가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기업차원에서도 자정노력과 사회공헌 활동을 병행하면서 사회·국민적 합의절차를 이끌어내려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세나 기자 cream53@chosun.com] [gamechosun.co.kr]
▶ 도타2 이제 시작! 25일 오픈베타 실시
▶ 연이은 실패 블리자드 자존심 회복할까?
▶ [꿀팁] 포코팡, 만렙이 알려주는 고득점 비결
▶ 1등, 넥슨 합류…온라인게임 ″가을대전″ 후끈
▶ 위메이드, ″히어로스리그″로 모바일 AOS시대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