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댓글
|
매페짱짱맨 | 2025-06-19 19:01
9 to 6 만 해봤는데 무슨 유연근무제 라는게 있다네
몬가 내 면접 이야기듣고 상무님이 중견기업의 친한 차장님한테 연락해서 그런가
오늘 전화와서 경력 토막낸거 ㄴㄴ 7년인정해두림 그리고
원래 구매팀인데 티오 없으니 신사업부의 영업팀으로 가고 기존업무 하는거 도와주는식의 어쩌고 저쩌고
하는데 사실 신사업부에 대한 이야기는 이분도 모르는 눈치...
부사장이 직접 생각하고 있다니까 뭐
여튼 중견의 조건이 변했다 기존 연봉대비 -500
위치 좋음 복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음 다니는 사람들 말로는 기업 몸뚱아리에 안맞게 좀 쪼잔하다는데
그래도 유연근무제는 좋다고 함
8-10 출근해서 시간채우고 만약 연차를 사용 했는데 야근해서 8시간 채우면 쓴 연차를 되살릴수도 있다는데
솔직히 이해가 잘 안됨;;
마치 다른회사사람들이 이해 못한 우리회사의 연차+월차를 혼합한 워라밸휴가 제도같음
(기준연차에서 7일을 연초에 차감하는대신 월차(12개)를 얻는제도 다만 월차이기에 사용하지 않으면 그대로 소멸)
14,339
3,289,780
프로필 숨기기
73%
신고
래디오스 2025-06-20 07:34
그거 공무원들도 채용하는 제도인데. 초과근무 연가저축제. 제도의 유무가 중요한게 아니라 실제 제도의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분위기인지, 아니면 빛좋은 개살구인지가 문제지.
중견이면 단순이 야근 싸게 조지려는 의도로 도입한게 아니라 그냥 공무원들도 쓰는 유연근무제니까 나름 복지차원에서 도입한 걸 수도 있고
IT회사에서는 많이들 채용함. 8-10시 자동유연근무면 사전 신청해야하는 것보다도 좋네. 대충 알람없이 일어나서 일찍 눈뜨면 8시 출근하고 늦잠자면 10시출근해서 19시까지 근무하면 되겠네.
이것도 제도 자체보다 현실적으로 아침부터 보고다 미팅이다 출장이다 해서 실상은 개같이 일찍 나가야하는건지, 대충 상황맞춰 출근해서 내 일만 하면 되는건지 현실이 더 중요한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