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버튼


상단 배너 영역


기획

엔씨문화재단, 의사소통 장애인 돕는다 …'나의 AAC' 무료 배포

페이스북 트위터 기사제보

"편의점에 들어가 '물을 달라'는 기본적인 의사소통도 하지 못하는 중증 장애인들이 많이 있습니다.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AAC(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해 자신의 요구나 바람을 표현하고 사회적 친밀감도 쌓을 수 있길 바랍니다."

엔씨소프트문화재단은 24일 판교 R&D센터에서 의사소통에 장애를 지닌 사람들을 지원하는 공익 소프트웨어인 '나의 AAC'를 소개하는 제작발표회를 진행했다.

이날 공개된 나의 AAC는 지적장애, 자폐 등 발달장애로 인해 어렸을 때부터 의사소통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제작됐다. 텍스트보다는 그림을 상징으로 활용하는 등 지적 장애인의 눈높이에 맞춘 쉬운 사용법을 제공한다.

이재성 엔씨문화재단 전무는 "의사소통 장애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임을 누구나 잘 알고 있지만 국내에서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매번 우선순위에 밀려 있다"며 "때문에 비영리 공익 재단인 엔씨소프트문화재단이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SW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됐다"고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발달장애인은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의사소통 능력이 낮은 편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발달장애인은 20여 만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8% 수준이다. 전체 장애인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발달장애인 수는 약 7천 명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뇌졸중 등 성인기에 후천적으로 의사소통에 장애를 가지는 사례도 늘고 있어 나의 AAC처럼 의사소통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 개발 및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나의 AAC의 기능적 목표는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요구나 바람을 표현하고 ▷정보를 전달하거나 공유하며 ▷사회적 친밀감을 쌓고 ▷사회적 에티켓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는 것이다.

해당 앱은 사용자 환경에 따라 '나의 AAC 기초', '나의 AAC 아동', '나의 AAC 일반' 등 3가지 버전으로 구성돼 있다. 현재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3가지 버전을 모두 내려받을 수 있으며 11월 중 앱스토어에서도 출시될 예정이다.

이 전무는 "AAC를 필요로 하는 현장, 학계, 지방자치단체, 정부 등과 협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대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AAC 사용자, 그 가족, 선생님, 언어치료사 등 AAC 관련자들의 협업과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지웅 기자 csage82@chosun.com] [gamechosun.co.kr]

tester 기자의

ⓒ기사의 저작권은 게임조선에 있습니다. 허락없이 무단으로 기사 내용 전제 및 다운로드 링크배포를 금지합니다.

최신 기사

주간 인기 기사

게임조선 회원님의 의견 (총 0개) ※ 새로고침은 5초에 한번씩 실행 됩니다.

새로고침

0/500자

목록 위로 로그인


게임조선 소개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