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버튼


상단 배너 영역


게임동향

국내 무선인터넷시장 110조원…연 7.1% 성장

페이스북 트위터 기사제보

 

국내 무선인터넷산업 규모가 1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MOIBA)는 12일 ‘2013 대한민국 무선인터넷사업 현황’을 발표하며 지난해 한국 무선인터넷산업 규모는 전년대비 8.8% 증가한 109조7598억 원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무선인터넷산업은 연 7.1%포인트 지속적으로 성장해 2016년에는 134조198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선인터넷산업에서 휴대전화·기지국 등 시스템·단말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이 85.0%(93조3456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분야는 9.8%(10조7234억 원)로 조사됐다.

운영체제(OS)·보안인증 등 솔루션·플랫폼 분야는 3조2573억 원으로 3,0% 비중을 차지했고, 게임·멀티미디어 등 콘텐츠 분야는 2조4355억 원으로 2.2%를 기록했다.

특히 네트워크 분야는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5.1%의 가장 큰 성장률을 기록했다. 콘텐츠 분야의 경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시장을 중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 성장했다.

수익모델별 모바일 앱을 살펴보면 다운로드가 발생할 때 요금을 부과하는 유료판매 방식이 가장 많은 40.8%를 보였다. 앱 내 결제(In App Purchase)는 20.4%, 유료판매와 앱 내 결제 혼합방식은 12.6%의 비중을 보였다.

콘텐츠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건 단연 게임이었다. 지난해 약 6573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의 27.0%를 책임졌다. 뒤를 이어 멀티미디어 18.0%, 전자책(e-book) 12.4%, 커뮤니케이션 10.8%, 모바일 상거래 10.3%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 모바일업체들은 성장 가능성이 큰 앱 마켓으로 구글의 구글플레이(77.9%)를 꼽았다. 국내 앱 마켓의 성장을 예측한 업체는 13.3% 수준에 머물렀다.

모바일인터넷 분야 기업은 지난해 대비 22% 증가한 4015개로 조사됐다. 종사자 수 역시 4.6% 늘어난 27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연구직이 11만2381명으로 전체의 41%를 차지했으며, 이 가운데 55.6%는 모바일OS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앱 개발사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홍보·마케팅(31.7%)이 가장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자금력 강화(31.7%), 기술력 제고(19.4%), 전문인력 확보(10.8%), 법·제도 개선(10.8%), 불법복제 방지(7.9%)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민재 기자 sto@chosun.com] [gamechosun.co.kr]
세상 그 어디에도 없는 몬스터헌터4 영상 공략
배꼽 아래 10cm까지 속살이…블레스, 코스프레 '화끈'
섹시부터 귀요미까지 '여신'총집합
총싸움꾼들 사로잡은 매력, 그녀 "어려웠어요"
늘씬한 '탑'레이싱모델, 다리길이만 봐도

tester 기자의

ⓒ기사의 저작권은 게임조선에 있습니다. 허락없이 무단으로 기사 내용 전제 및 다운로드 링크배포를 금지합니다.

최신 기사

주간 인기 기사

게임조선 회원님의 의견 (총 0개) ※ 새로고침은 5초에 한번씩 실행 됩니다.

새로고침

nlv19 대장군_옹 2014-02-12 15:47:19

역시 구글..

nlv12 방가3회후돌진 2014-02-12 15:51:25

무선은... 조 단위로 올라가네

0/500자

목록 위로 로그인


게임조선 소개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