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무선인터넷산업 규모가 1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MOIBA)는 12일 ‘2013 대한민국 무선인터넷사업 현황’을 발표하며 지난해 한국 무선인터넷산업 규모는 전년대비 8.8% 증가한 109조7598억 원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무선인터넷산업은 연 7.1%포인트 지속적으로 성장해 2016년에는 134조198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선인터넷산업에서 휴대전화·기지국 등 시스템·단말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이 85.0%(93조3456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분야는 9.8%(10조7234억 원)로 조사됐다.
운영체제(OS)·보안인증 등 솔루션·플랫폼 분야는 3조2573억 원으로 3,0% 비중을 차지했고, 게임·멀티미디어 등 콘텐츠 분야는 2조4355억 원으로 2.2%를 기록했다.
특히 네트워크 분야는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5.1%의 가장 큰 성장률을 기록했다. 콘텐츠 분야의 경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시장을 중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 성장했다.
수익모델별 모바일 앱을 살펴보면 다운로드가 발생할 때 요금을 부과하는 유료판매 방식이 가장 많은 40.8%를 보였다. 앱 내 결제(In App Purchase)는 20.4%, 유료판매와 앱 내 결제 혼합방식은 12.6%의 비중을 보였다.
콘텐츠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건 단연 게임이었다. 지난해 약 6573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의 27.0%를 책임졌다. 뒤를 이어 멀티미디어 18.0%, 전자책(e-book) 12.4%, 커뮤니케이션 10.8%, 모바일 상거래 10.3%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 모바일업체들은 성장 가능성이 큰 앱 마켓으로 구글의 구글플레이(77.9%)를 꼽았다. 국내 앱 마켓의 성장을 예측한 업체는 13.3% 수준에 머물렀다.
모바일인터넷 분야 기업은 지난해 대비 22% 증가한 4015개로 조사됐다. 종사자 수 역시 4.6% 늘어난 27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연구직이 11만2381명으로 전체의 41%를 차지했으며, 이 가운데 55.6%는 모바일OS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앱 개발사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홍보·마케팅(31.7%)이 가장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자금력 강화(31.7%), 기술력 제고(19.4%), 전문인력 확보(10.8%), 법·제도 개선(10.8%), 불법복제 방지(7.9%)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민재 기자 sto@chosun.com] [gamechosun.co.kr]
▶ 세상 그 어디에도 없는 몬스터헌터4 영상 공략
▶ 배꼽 아래 10cm까지 속살이…블레스, 코스프레 '화끈'
▶ 섹시부터 귀요미까지 '여신'총집합
▶ 총싸움꾼들 사로잡은 매력, 그녀 "어려웠어요"
▶ 늘씬한 '탑'레이싱모델, 다리길이만 봐도